안녕하세요. 이 블로그의 제목을 보고 찾아온 당신은 매력적인 사람이겠군요.
축하드립니다. 포기하지 말고 시도해보세요. 더욱 더 매력적인 당신을 만들 평생의 무기를 손에 쥐어 드리겠습니다.
제가 여태까지 살아오며 쌓은 지식이 담겨 있습니다.
목소리 좋은 사람의 공통점이 뭔가요?
'목소리'가 좋은 사람들을 뽑자면 보통 아나운서, 성우, 배우가 있겠네요. 물론 가수도 포함이고요
이 분들의 공통점은 복식으로 호흡한다 입니다.
발음이나, 소리의 위치, 경구개 연구개 등 다양한 공명 방법도 필요하지만 이번에 알려드릴 것은
1. 복식호흡 하는 방법과
2. 발음 입니다.
일반인은 발음,목소리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사용하든 복식호흡의 중요성이 필요 없습니다.
분명, 이 블로그의 제목을 찾아온 우리는 매력적인 사람이죠? 매력을 더 증폭시키기 위해 목소리를 좋게 하고 싶은 분들입니다. 그러면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방식을 마다 할 필요가 없겠네요.
시간을 조금 투자해 평생 쓸 매력을 만들어 봅시다.
복식호흡을 하면 이로운 점이 무엇인가?
복식 호흡으로 말을 하면 긴장을 하거나 큰 무대에 올라가도 안정된 목소리로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안정된 목소리는 자신감을 가져옵니다. 신뢰감 있는 목소리로 천천히 말하려면 기본이 복식호흡입니다.
연구개를 든다던가, 비강을 울리거나 하는 건 호흡이 되고, 진성대가 완성된 후 하는 편이 몸이 잘 받아드립니다.
우선 연습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호흡의 밸런스 습관을 들여야 하고. 이후에 공명감과, 진성대의 연습입니다.
복식 호흡은 말 그대로 '숨쉬는 행위' 입니다.
우리가 태어났을 때, 즉 아기였을 때 우리는 복식호흡을 하고 있었습니다.
배로 호흡하여 횡격막 수축을 통해 입 밖으로 연구개를 치고 나가는 소리로 두성의 소리를 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자라면서 영향 받는 부모님의 경구개로 말하는 습관을 배우며 점점 횡격막의 사용을 근육은 잊게 되죠.
성인이 된 일반인 중 횡격막 움직임을 최대로 활용해 본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 감각을 평상시 잠시 느껴 본 적이 있는데요, 그건 지각 했을 때 입니다.
지하철에 늦어서 뛰어갈 때 심장이 쿵쾅거리는 경험이 있을 텐데요. 그 때 호흡한 게 복식 호흡입니다.
폐에 공기가 부족해 빠르게 공기를 흡수해 횡격막이 수축하고, 내뱉을 때 복횡근이 수축합니다.
횡격막은 막이지만 사실 근육에 가깝습니다, 평소 운동을 하지 않으면 근육은 빠지고, 근육은 움직이는 방법을 잊어버립니다.
횡격막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나보고 지금 밖으로 나가서 전속력으로 뛰라고? 그 말이 아닙니다.
집에서 모니터를 보면서 간단히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우선 의자에서 등을 기대로 일자로 똑바로 앉습니다.
2. 그리고 숨을 최대한 마시세요. 배가 빵빵해져서 계속 빨아드리려 해도 더는 못 마실 만큼요, 5초 기다립니다.
3. 숨을 끝까지 내뱉습니다. 더는 뱉을 공기가 없어야 합니다. 쭉 짜낸다는 느낌이 들 때 까지요. 5초 기다립니다.
그러면 우리는 횡격막의 스트레칭을 끝낸 겁니다.^^
이 횡격막 운동 스트레칭을 10번 반복하세요.
다 하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복식 호흡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실 이미 알려드렸습니다.
당신은 이미 복식으로 호흡 중입니다. 다만, 그 입과 코의 밸런스를 잘 못맞출 뿐.
10번 반복했다면 횡격막 근육이 호흡 하는 방법을 되찾았을 겁니다.
이 행위를 틈 날 때마다 자주 해 줄 수록 근육이 잘 기억하고, 더 강해집니다.
본격적인 복식쪽에 더욱 밸런스를 맞춘 호흡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이들 보셨을겁니다. 가슴을 들리지 않게 해라. 맞습니다.
그걸 위해서 우선 바른 자세를 만들어서 폐의 공기가 입까지 일직선으로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방법
1.서있을 때나, 앉아있을때 똑바로 머리를 위로 끄집어올린다는 느낌으로 허리를 세우세요.
2.코로 숨을 들이마시세요, 이때 윗 가슴이 들리면 안되며 아랫배에 횡격막이 움직이는 느낌을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횡격막 스트레칭이 안된 사람은 매일 연습해서 3~7일쯤 되어야 감이 올겁니다.(열심히 한 기준입니다.)
3.내뱉을 때 억지로 신경쓰지 마세요. 자연스럽게 코로 내뱉거나 입으로 내뱉으면 횡격막이 움직이게 됩니다.
잘 된다면, 입을 우(후)모양으로 만들어두고, 공기를 내쉬세요, 입은 모양만 만들어야합니다. 입으로 소리내는 게 아니에요.
그러면 멀리까지 쭉 내뱉는 힘이 생기기 때문에, 내뱉고 있는 상태에서 (호흡이 먼저 나가고), 이후에 성대를 접촉시켜야 합니다. 입은 모양입니다. 쭉 내뱉는 힘에 얹을 뿐입니다.
복식호흡과 성대 접촉이 완성되었습니다.
호흡과 접촉 하는 방법은 알았는데 이제 말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호흡이 먼저 나가고 있는 상태에서(호흡 나가기 유지중), 입술쪽 위치에서 발음을 또박 또박 한 글자씩 해보세요
가,나,다,라 (아)발음이 호흡을 내뱉기에 좋은 발음입니다.
말을 할 때, 배가 수축하면서 말을 하고 있다는 게 느껴 질 겁니다. 이게 안된다면 호흡의 스트레칭이 부족한 분들이니 다시 연습 해보시길 바랍니다.
녹음을 해서 들어보면 목소리가 좋아졌다는 걸 단번에 느낄 수 있을겁니다. 선명하게 들리고 안정적으로 들리죠.
설명은 안 했지만, 이미 당신의 몸 속에선 공기가 성대를 치고 나가면서 성대가 닫히는 힘과 호흡이 빠져나가는 힘이 맞아 떨어져서 펄럭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또박 또박 말 하는 것이 선명하게 들리는 역할을 하고, 성대 접촉률을 높이는 방법이니 착실하게 연습 하세요
단어를 말 할 때 엉성하게 들린다면, 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하세요 깔끔하게 들립니다.
ㄱ,ㄴ,ㄷ,ㄹ,ㅁ 이런 발음을 하지 않고 말 한다면 불명확한 웅성거리는 소리로 들리게 됩니다.
여태까지 진성대를 사용해 말을 하는 방법이었는데요. 진성대가 목소리가 좋은 느낌을 받기 좋습니다.
여러분들은 목소리가 좋아지는 방법을 알고 싶으신거죠, 사실 목소리는 공명감이 있어서 장소를 울려줘야 좋은 소리다 라고 사람 귀에 인식이 됩니다.
그리고 딕션이 좋으며 음의 높낮이 폭이 적을 경우 목소리가 매력적으로 들리게 됩니다.
그렇기에 아나운서, 성우들의 목소리가 좋게 들리는 건데요.
연구개를 들어야한다? 네 맞습니다. 꼭 들어줘야만 좋은 소리가 납니다. 공명감이 날 수 있는 위치중 가장 좋은 공명소리를 낼 수 있는 곳입니다. 비강도 물론 있지만, 우선적으로 열어야 하는 곳이 연구개입니다.
연구개를 들면 성도가 넓어져서 성대 접촉이 아주 얇아지게 됩니다. 네 맞습니다. 두성이죠. 두성은 가성대를 울립니다.
하지만 우리는 좋은 목소리를 갖고싶은거죠?
연구개를 열어 가성대의 비율을 늘리는 느낌을 찾기보단. 진성대 비율을 훨씬 많이 가져야합니다.
거울 앞에서 입을 열고, 입천장 연구개를 만져보세요 저절로 들리죠? 쉽게 느낌을 알고싶으면 하품을 해야합니다.
그러면 뒷공간이 열리고, 위아래로 공간이 늘어나며, 혀뿌리가 내려가고, 연구개가 위로 들립니다.
이 상태에서 아까 한 호흡을 해야합니다. 호흡이 나가고있는 상태에서 입을 닫고(입은 모양입니다.) 입술쪽 위치에서 음~~~~ 소리를 냅니다.
허밍인데요, 그 느낌 그대로 입술위치에서 발음을 하시면 됩니다.
주의해야 할 점
혀뿌리가 내려가고, 연구개가 위로 들렸는데 발음을 하거나, 소리를 내면 다시 풀리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잘 신경써서 하셔야하고, 더 신경쓰는 방법은 거울을 보고 입을 벌린 후 손가락을 집어넣어 연구개를 만져보며 발음을 하는겁니다.
저는 지식을 전해드렸습니다. 이제 남은건 당신의 몫입니다.
당신이 몇 십년 평생 써왔던 목소리 습관을 단기간에 바꿀 수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제 경험상 정답은 YES입니다.
근육을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하면 평생 안 써본 느낌이라 할 지라도 근육은 그 방식을 기억합니다.
하지만 그동안 쌓아온 세월이 있죠 신경 쓰지 않으면 원래 하던 습관이 나오게 됩니다.
좋은 방법을 매일같이 5분~30분 사이로 연습하면 매일 쓰던 자신의 습관이 점점 사라지고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자신을 믿고 희망을 가지고 끈기 있게 도전하면 됩니다.
당신의 매력을 한 껏 더 끌어올릴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필수 함수 정리! 반드시 알아야 할 10가지 함수 (0) | 2023.04.22 |
---|---|
엑셀 단축키 모음 - 자주 쓰는 단축키 정리 (0) | 2023.04.18 |
가성비 뜻 챗 gpt에게 물어보기 (0) | 2023.04.14 |